본문 바로가기

그 밖의 세상

직장인 100명 중 97명 “상사 갑질 경험”

728x90

직장인 100명 중 97명은 상사의 갑질을 경험한 적이 있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취업포털 인크루트는 '갑질 상사'를 주제로 직장인 898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응답자 97%가 '갑질 상사와 일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고 18일 밝혔다. 

  


유형별로 보면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갑질 상사 유형 1위는 '자신의 업무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는 미꾸라지형'과 '본인의 기분에 따라 팀 분위기를 바꾸는 기분파형'이었다.   

  

두 유형은 각각 전체 응답자의 20%(중복응답)의 지지를 얻었다.   

  

그 다음으로는 '이래다 저랬다 말 바꾸는 변덕쟁이형'(19%), '사사건건 감시하고 지적하는 지적형'(15%), '상사의 명령이나 의견에 무조건 맞추는 YES맨형'(13%), '자신과 코드가 맞는 직원에게는 자율권을 주고 눈 밖에 난 그룹에게는 간섭하는 사내정치 조장형'(11%) 등이 뒤를 이었다.   

  

이번 설문에서는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주관식 설문도 진행됐다.   

  

응답자들이 답변한 상사 갑질 유형에는 '부하 직원의 성과를 본인 성과로 조작하는 가로채기 형', '일 안하고 월급 받는 월급루팡형 또는 베짱이형' '회의를 시작하면 기본 2시간을 하는 회의주의자형', '직위를 이용해 성추행, 외모 지적을 일삼는 변태형', '개인적인 심부름까지 시키는 무개념형', '모든 대화에 욕설이 난무하는 욕쟁이형' 등이 나왔다.   

  


직장인들은 문제가 있는 상사와 일할 때 대처법으로 '가능한 신경 안 쓰려고 노력한다'(46%)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2위에는 '일할 때는 친한 척, 뒤에서는 뒷담화를 한다'(16%)가 3위에는 '내가 이직한다'(15%)가 차지했다.   

  

이 밖에도 '상사에게 직접 토로한다'(9%), '상사보다 더 윗분에게 말씀 드린다'(4%)의 응답이 나왔다.   

  

반면 직장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상사 유형으로는 '효율적으로 업무를 추진하는 스타일'(24%)이 가장 많았고, '팀원과의 수평적 소통관계를 이끄는 모습'(21%), '공과 사의 구분이 확실한 모습'(15%),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는 모습'(15%), '경청하는 태도를 보이는 모습'(14%) 순으로 선택됐다.   



로그인 안 해도 누를 수 있는 ♡공감을 눌러 주시면 제게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