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정보' 저 '정보'

청년내일채움공제 자격&신청방법 확인!

728x90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내일채움공제 자격조건, 신청방법 소개한다. 그리고 취준생 입장에서 조심해야 할 부분도 참고하기 하면 좋겠다.



 청년내일채움공제란?


가장 먼저 청년내일채움공제란, 중소, 중견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들의 장기근속을 위하여 고용노동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사업다. 청년, 기업, 정부가 공동으로 공제금을 적립하여 2년간 근속한 청년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1600만원(+이자)의 만기공제금을 지급한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자격


다음으로 청년내일채움공제 자격을 살펴보면, 청년의 경우,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여야한다. 그리고 중소 중견 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이여야 지원 가능하다. 그리고 기업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5인이상 중소, 중견기업이여야한다. 단, 소비향락업 등 일부 업종을 제외된다. 벤처기업이나 청년창업기업 등 일부 1인이상~5인미만 기업도 참여 가능!!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


조건에 해당되는 대상자는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워크넷 청년공제 사이트에서 바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하다. 


<<< 바로가기 >>>



 채용공고에 숨은 청년내일채움공제의 함정?


채용 공고에 숨은 청년내일채움공제 함정이라는것이 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를 하게되면, 청년 입장에서는 한달에 12만 5천원씩 총 300만원을 내고 2년 뒤에 목돈 1600만원을 받아가기에 나쁠것이 없다. 문제는, 일부 기업이 이 지원금까지 연봉에 집어넣는 꼼수를 쓴다는 것이다. 그러니 취준생분들은 채용공고를 볼 때 확인을 해야 한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자격에 해당되더라도, 청년내일채움공제를 내건 기업 연봉이 2년 뒤엔 떨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하고, 무조건 떨어진다고 단정 지을 순 없지만 , 그럴 가능성도 있으므로 면접때에나 그 전에 2년 뒤부터 연봉이 어떻게 되는지 미리 확인해야 한다. 



로그인 안 해도 누를 수 있는 ♡공감을 눌러 주시면 제게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