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분 (春分)
24절기의 네 번째 절기. 춘분(春分)은 경칩(驚蟄)과 청명(淸明)의 중간에 드는 절기로 양력 3월 21일 전후, 음력 2월 무렵에 든다. 이날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하여 적도를 통과하는 점, 곧 황도(黃道)와 적도(赤道)가 교차하는 점인 춘분점(春分點)에 이르렀을 때, 태양의 중심이 적도(赤道) 위를 똑바로 비추어, 양(陽)이 정동(正東)에 음(陰)이 정서(正西)에 있으므로 춘분이라 한다. 이날은 음양이 서로 반인만큼 낮과 밤의 길이가 같고 추위와 더위가 같다. 이 절기를 전후하여 농가에서는 봄보리를 갈고 춘경(春耕)을 하며 담도 고치고 들나물을 캐어먹는다.
우리가 매일 아침
어떤 옷차림으로 집을 나서야 할지
수시로 날씨를 확인하는 것처럼
예부터 우리 선조들은 24절기를 관찰하고
그에 맞추어 농사를 지어왔다.
때문에 절기와 관련된 풍습이
우리나라에는 상당히 많다.
춘분은 낮과 밤의 길이가 같고 음양이 같아
1년 중 농사일을 하기 가장 좋은 때로 여겨진다.
때문에 논이나 밭에 뿌릴 종자를 고르고
밭갈기를 하는 등 농사일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시기이다.
■ 사한제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는 이 날
'사한제'라는 의례가 행해졌다고 한다.
사한제는 여름 더위를 식히기 위한 얼음이나
나라의 잔치나 제사에 사용되는
얼음을 잘 보관하고
여름은 여름답게, 겨울은 겨울답게
덥고 추워야 한다는 자연의 법칙에
이례가 없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행해온 의례이다.
■ 춘분날 어떤 음식을 먹었을까?
볶은 콩
춘분 음식으로는
한해 농사를 기원하는 의미로
볶은 콩을 먹었다.
콩을 볶으며
"달달 볶아라, 새알도, 쥐알도, 달달 볶아라"
라는 노래를 부르며 곡식을 축내는
새와 쥐가 사라지기를 바랐다.
봄나물
'봄을 나누다'라는 뜻을 가진 춘분에는
쑥, 냉이, 달래 등 자라나는 봄나물을
먹으며 한해 농사를 지을 힘을 듬뿍!
보충하기도 하였다.
나이떡 / 머슴떡
우리 선조들은 음력 2월 1일에
나이 수대로 떡을 나누어 먹으며
무병장수를 기원하고 액운을 물리치는 의미의
나이떡을 먹었다.
비슷한 시기인 춘분에
한해 농사일을 함께할 머슴들과
나이떡을 나누어 먹었다 한다.
때문에 이날 먹는 나이떡은
'머슴떡'이라고도 불렀다.
먹을 것이 특히 귀했던 시절,
겨우내 먹을것이 부족했던 사람들은
볶은 콩과 나이떡 등 춘분 음식을
손꼽아 기다렸다고 한다.
낮과 밤이 같고 추위와 더위가 같은 날 춘분!
올해도 풍년이 깃들길 기원한다.
로그인 안 해도 누를 수 있는 ♡공감을 눌러 주시면 제게 큰 힘이 됩니다.
'이 '정보' 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고기/돼지고기 부위별 명칭 정리 (1) | 2018.03.27 |
---|---|
참치(다랑어)의 종류와 부위 그리고 효능 (0) | 2018.03.26 |
2018년 벚꽃 개화시기 & 지역별 봄꽃 축제 일정 (0) | 2018.03.16 |
청년내일채움공제 자격&신청방법 확인! (0) | 2018.03.16 |
'눈다래끼' 원인과 종류 그리고 치료법!! (0) | 2018.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