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을 둘러보다 보면 심심찮게 ‘좌뇌형’과 ‘우뇌형’을 구분하는 글이나 콘텐츠가 보인다. 누구나 한 번쯤은 이런 테스트를 해봤을 것이다. 그렇다면 좌뇌형 우뇌형 구분은 사실일까?
정답은 ‘아니다’ 이다. 그렇다면 왜 이런 잘못된 정보가 널리 퍼진 것일까?
1970년대, Roger W. Sperry 박사는 뇌에 대한 혁명적인 연구를 남겼다. 칼텍에서 교수를 지냈고 1981년 노벨상을 탄 인지과학의 아버지다.
그는 연구를 통해 좌뇌와 우뇌를 연결하는 뇌량을 발견했다. 또 좌뇌와 우뇌의 연결이 끊긴 환자가 특정 기능을 잘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환자들은 우뇌에 위치한 기억들은 이름을 잘 기억하지 못했다. 그래서 좌뇌가 언어 능력을 관장한다는 가설을 세웠다. ‘좌뇌, 우뇌 구분’ 가설의 시작이다.
(시야를 가리고, 양손에 물건을 올려 놓으면 '왼손'의 물건은 감각은 있으나 무엇인지 표현할 수 없다. 왼손→연수를 통해 우뇌로→뇌량 끊김→언어 담당 좌뇌로 정보 이동 불가)
이후 이 학설을 다룬 기사가 뉴욕 타임즈, 타임지,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등의 미디어를 타며 좌뇌, 우뇌 구분 학설은 전 세계로 퍼지게 된다.
하지만 이후 의학이 발달하면서, 좌뇌형, 우뇌형 가설은 거짓이라는 것이 드러났다. 유타 대학에서는 1,000명이 넘는 실험자들을 연구하여 사람들이 한쪽 뇌를 다른 쪽 뇌보다 더 사용하는지 연구했다. 결과는 놀라웠다. 사람들은 특정 행동을 할 때 특정 부위의 뇌를 더 사용했다. 하지만 종합해서 평균을 내보면 사람들은 좌뇌와 우뇌를 비슷하게 사용하고 있었다.
어째서 이런 일이 발생할까? 실험을 지휘한 Jeff Anderson 박사의 설명은 간단하다.
좌뇌와 우뇌는 함께 움직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말을 할 때 좌뇌만 쓰는 것은 아니다. 좌뇌는 문법, 단어 등 언어의 이성적인 면을 관장한다. 우뇌는 단어의 감정적 여파, 어감 등의 감성적인 측면을 관장한다. 따라서 좌뇌와 우뇌를 동시에 사용해야만 정상적인 언어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좌뇌와 우뇌는 협업을 목표로 하지 한 쪽이 다른 기능을 이기기 위해 경쟁하는 관계도 아니라고 한다.
실제로 세상에는 감정적인 사람이 있고 이성적인 사람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성적인 사람이 특별히 좌뇌를 더 사용하거나 감성적인 사람이 특별히 우뇌를 더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로그인 안 해도 누를 수 있는 ♡공감을 눌러 주시면 제게 큰 힘이 됩니다.
'이 '정보' 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아온 서울밤도깨비야시장! 일정·장소 등 총정리 (0) | 2018.03.30 |
---|---|
'현미 vs. 백미'란? 현미의 효능 알고 먹자!! (0) | 2018.03.30 |
소고기/돼지고기 부위별 명칭 정리 (1) | 2018.03.27 |
참치(다랑어)의 종류와 부위 그리고 효능 (0) | 2018.03.26 |
[24절기] 춘분 음식과 풍습 (0) | 2018.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