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 밖의 세상

재닛 옐런의 마지막 통화정책회의 결과 - 기준금리 동결

728x90

재닛 옐런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마지막 통화정책회의는 조용히 끝났다. 그러나 올해 Fed의 행보가 심상치 않을 전망이다. 


1.25~1.50% 유지, 올해 물가상승 전망

올해 기준금리 인상 네차례라는 해석도 

신임 제롬 파월 의장, 주말 4년 임기 개시  


31일(현지시간) 이틀간에 걸쳐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고 Fed는 밝혔다. 

  

이미 예상된 결과였다. Fed는 이미 지난해 12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1.25~1.50%로 0.25%포인트 인상한 바 있다. 

  


지난달 실업률이 4.1%로 사실상 완전 고용 상태지만 물가상승률은 여전히 Fed의 목표치(2%)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뉴욕 월가에서는 물가상승 둔화 우려에 따라 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예상했었다. 

  

Fed는 이날 회의 직후 발표한 성명에서 “올해는 물가상승률이 위로 올라갈 것(move up)”이라며, 중기적으로 2% 부근에서 안정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12월 FOMC 회의만 해도 물가상승률이 단기적으로 Fed의 목표치인 2%를 밑돌 것이라는 문구가 있었지만 삭제됐다.  

  


완전고용상태에 다다른 이후 임금인상 움직임이 일기 시작했고,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이 점점 좋아져 2014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인 2.7%대에 올라선 점이 물가상승률 예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중기적'이라는 문구를 넣음으로써 Fed가 그동안 추진해온 점진적인 금리 인상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 경제전문매체 마켓워치는 오는 3월 FOMC 회의에서 추가 금리 인상이 이뤄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했다. 

 

이날 성명에 올해 기준금리 인상횟수가 세차례가 될지 네차례가 될지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RSM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조 브루수엘라스는 "물가상승률을 예상한 대목이 올해 Fed가 추진하는 기준금리 인상 횟수를 세 차례에서 네 차례로 수정했다는 사실을 암시한다"고 분석했다. 

  

옐런 의장이 퇴임한 자리에 후임인 제롬 파월 이사가 2월3일부로 신임의장으로 취임해 미국의 통화정책을 지휘할 전망이다.  

 

지난 2014년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의 지명을 받고 여성 최초로 Fed 의장에 오른 옐런 의장은 성공적으로 4년을 마무리했다는 평가를 듣는다.  

  

재임기간 동안 기준금리를 다섯차례 인상하고, 기형적으로 불어난 보유자산 축소에 주력하면서 미국경제를 금융위기로부터 정상화하는데 애썼다. 

  


그 결과 지난 4년간 실업률이 6.7%에서 4.1%로 크게 떨어지고, 주가상승률은 25%를 웃돈다. 그동안 대부분의 Fed의장이 4년 임기를 마치고 재선임됐던 전례에 비춰 4년만에 물러나는 옐런 의장의 퇴임을 시장이 아쉬워하는 배경이다. 

  

옐런은 퇴임 후 당분간 조지타운대 경제학과에 재직하는 남편 조지 애컬로프 교수와 워싱턴에 머물 계획이다.  


로그인 안 해도 누를 수 있는 ♡공감을 눌러 주시면 제게 큰 힘이 됩니다.